본문 바로가기

전체 카테고리

(32)
2024년 밀린 감상문 모음 2024 교향악축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클라리넷 : 김한지휘 : 다비드 라일란트이 날은 여러모로 편안하게 듣고 올 수 있었던 공연이었습니다. 먼저 레파토리 선정부터, 어려운 곡 안 하고 맨날 듣던 곡 안 하겠다는 의지가 돋보였습니다. 1부에서는 임형섭의 하윌라, 그리고 장 프랑세의 클라리넷 협주곡을 선보였습니다. 현대곡이라고 하면 뭐가 튀어 나올줄 몰라서 듣는 사람 참 괴로울 때가 있는데, 이 날은 마치 영화음악처럼 상당히 이미지 중심적이고 귀에 잘 감기는 곡들이었습니다. 특히 클라리넷 협주곡은 솔리스트가 이야기한 대로 "독주자는 죽을것 같고 듣는 사람은 편안한" 음악이었는데, 솔리스트의 훌륭한 기량도 충분히 느낄 수 있으면서 현대곡에 대한 편견도 부수는 시간이었습니다. 2부 슈베르트는 메모를 하나도 안..
감상문, KBS교향악단 제799회 정기연주회 (2월 24일) 오보에 : 프랑수와 를뢰 지휘 : 미하엘 잔데를링 사실 이 공연, 레파토리만 보고 헤헤 모차르트 헤헤 하면서 샀습니다. 솔로이스트가 누군지, 지휘자가 누군지에 대한 정보는 아무것도 없이 예습도 거의 안 하고 갔는데요. 결론만 말하면 피리부는 아저씨한테 홀려서 따라 나갈뻔 했습니다. 1부, 모차르트의 오보에 협주곡입니다. 너무 잘 아는 곡이라 예습 안 하려고 했는데 예의상 를뢰가 취입한 반이 있길래 한번 듣고 갔습니다. 그런데 이거 음반이랑 실황의 갭이 너무한거 아닌가요. 오보에 첫음 부는데 내적인 '뭐야시1발너누구야'가 튀어나왔습니다. 솔리스트가 갑자기 악단의 멱살을 잡더니 씩 웃으면서 30분을 하드캐리 하더라구요. 그리고 오보에 저만큼 부는 실력이면 어지간한 악단은 끌려가는게 맞을 것 같기도 하구요. ..
감상문, 2024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의 바그너 '발퀴레' (2월 1일) 작년에 몇 차례 있었던 츠베덴의 서울시향 연주회를 다녀와서 거의 대부분의 감상은 "퇴근 에디션" 아니면 "무식하게 힘만 쓰는"으로 시작하는 다소 부정적인 표현들로 시작했더랬습니다. 그래서 올해 시향 시즌권을 R석 대신 S석으로 끊은것도 있구요. 그런데 올해 시즌 첫 연주회부터 이런 걱정을 한 방에 날려버리는 호연이 나타났으니 바로 2월 정기공연으로 차려놓은 모교40번과 발퀴레 1막이 그것이었습니다. 먼저 모교40. 이건 제가 칼 뵘의 빈필 연주로 정말 마르고 닳도록 들었던 곡이라 특별히 예습은 아르농쿠르의 "그 악단" (=로열 콘서트헤보우) 녹음으로 했습니다. 모교40은 템포가 좀 늘어진다 싶으면 지루하기 쉬운 곡이라고 생각하는데, 츠베덴은 1악장부터 마치 금방이라도 뺨에 김치로 싸대기를 날릴 것만 같은..
동경중앙우편국 풍경인 무릇 덕을 쌓는 데에는 멈춤이 없어야 하는 법이라, 재작년부터 여기저기 다니기 시작하면서 종종 들르는 곳에서 중앙우국을 찾아가 보곤 합니다. 일본우정은 워낙 우표 디자인이 좋고, 우본 관광우편날짜도장의 원조쯤 되는 곳이라 일본에서는 중앙우국이 아니더라도 웬만하면 우체국에 들르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인데, 2017년 도쿄중앙우편국의 관광인입니다. 날짜도장의 연도는 헤이세이로 되어 있습니다. 도안은 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좌)와 KITTE(우)입니다. 인면 상태가 굉장히 좋지요. 우편날짜도장을 꺼내주고 찍어가슈 하는 어느 나라와 달리 굳이 직원이 들고 여기에 찍어드릴까요 어떻게 찍어드릴까요 물어보면서 왔다갔다 하느라 적잖이 답답했는데, 도장의 관리 상태가 좋아서 감사히 받아들고 나왔습니다. 도안 우측의 K..
동티모르 우정청의 C33/CP10 반송사유서 동티모르는 우리에게 독립전쟁과 UN 평화유지군 파병으로 잘 알려진 말레이 제도의 작은 나라입니다.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할까 싶으니 인도네시아가 밀고 들어오는 바람에 졸지에 망했어요가 되어버린 기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 시간이 아니니 각설하고, 오늘은 동티모르에 보냈던 항공엽서 반송 실체에 붙어있던 특이한 C33/CP10 반송사유서를 꺼내 보았습니다. 자세히 보시면...선명한 "PTT Correios de Portugal SA" (...) 심지어 복사도 제대로 되지 않아서 왼쪽이 약간 잘려 있었습니다. 마치 광복 직후에 발행된 미군정청 가쇄 우표를 보는 것 같은 애잔함이 묻어나는 양식입니다. 지금은 Letter Post Manual에 동일한 양식이 CN15(우측 양식)로 등재되어 있습니..
금융IC카드에 공인인증서 저장하기: 이론과 실제 금융IC카드 표준안에는 공인인증서 저장소가 기본 기능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물론 K-CASH와 마찬가지로 이 기본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발급하느냐, 죽여놓고 발급하느냐에 따라서 실제로 우리가 발급받은 IC카드의 보안 저장소에 인증서를 넣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됩니다. 이론적인 이야기는 저도 이 이상 알지 못하니, 실제로 공인인증서를 금융IC카드에 넣으면서 겪은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합니다. 먼저 스마트카드 더미 단말기가 필요합니다. ISO 7810/7816 호환, EMV 호환이라고 쓰여 있으면 얼마 짜리를 사든 상관 없습니다. 금융IC카드 표준 자체가 국제 표준과 호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베이에서 7~8불 하는 것을 사면 주문한 것을 잃어버릴 즈음 배송되니 느긋하게 기다리면 ..
군사우체국 발송 우편물 (1) 올해도 어김없이 예비군이 돌아왔습니다. 아 가기 싫다… 그런 의미에서 군사우체국 실체봉피를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군사우체국과 군사우편취급소는 대형 군 주둔지에 설치되어서 우편물 발착을 취급하는 우편관서입니다. 보통은 주둔지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민간인 출입이 자유롭지 않지만, 간혹 군사보안구역 바깥에 설치되어서 365코너를 운영하는 곳도 있긴 합니다. 군대로 우편물을 보내게 되면 사서함 주소로 보내게 되는데, 이 주소는 각 군사우체국과 매칭되어 있어서 총괄국에서 바로 부대 안으로 우편자루를 쏘아 줍니다. 물론 사서함 주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주둔지의 실제 주소를 가리기 위한 것이라, 제가 소개할 군사우체국 실체의 발송 부대를 알아도 말씀드릴 수 없는 점은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먼저 305군사우체국 발송..
보통우표 기본요금 300원 시기 우편엽서, 규격서장, 비규격서장 희망의 새요금...이 아니고, 우편요금이 270원 기본에서 300원 기본으로 인상됨에 따라 기존 보통우표를 대체할 새 우표가 4월 3일에 발행되었습니다. 이름도 일반우표로 바뀌었지요. 열심히 규정 개정하는걸 보니 우본 공무원들이 별로 할 일이 없었나봅니다. 새 우표에 맞춰서 우편날짜도장도 사용하고 있고, 안내장도 발매되었는데 의외로 발매 당일의 호응이 뜨거워서 매진이 난 우체국도 수두룩했다는 전언입니다. 저는 발매일 오후에 느지막이 나갔다가 등기용은 구하지 못하고 엽서, 규격서장, 비규격서장만 구했습니다. 초일인은 뭐 그냥 그렇습니다. 그나마 좀 도안답게 상감백자가 나온 등기용 기본요금을 빼면 전부 별로랄까. 그런데 우표 도안이 재탕 삼탕을 우리고 우려서 사골이 흐물흐물해지진 태극기에 무궁화라 아주 불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