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편날짜도장

(7)
군사우체국 발송 우편물 (1) 올해도 어김없이 예비군이 돌아왔습니다. 아 가기 싫다… 그런 의미에서 군사우체국 실체봉피를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군사우체국과 군사우편취급소는 대형 군 주둔지에 설치되어서 우편물 발착을 취급하는 우편관서입니다. 보통은 주둔지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민간인 출입이 자유롭지 않지만, 간혹 군사보안구역 바깥에 설치되어서 365코너를 운영하는 곳도 있긴 합니다. 군대로 우편물을 보내게 되면 사서함 주소로 보내게 되는데, 이 주소는 각 군사우체국과 매칭되어 있어서 총괄국에서 바로 부대 안으로 우편자루를 쏘아 줍니다. 물론 사서함 주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주둔지의 실제 주소를 가리기 위한 것이라, 제가 소개할 군사우체국 실체의 발송 부대를 알아도 말씀드릴 수 없는 점은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먼저 305군사우체국 발송..
서울 숭례문 관광인 (서울중앙, 2016) 서울중앙우체국 관광인입니다. 더 설명이 必要韓紙...? 제 기억이 맞으면 원래 숭례문 관광인이 서울역전우체국에 있다가 전소된 이후로 폐지되고, 재개방에 맞춰서 서울중앙우체국에 신규된 것일텐데... 도안이 도안이다보니 그림엽서에 보통우표 300원권 붙여서 맥시멈카드로 해도 참 좋습니다. 숭례문 그림엽서는 멀리 갈 것도 없이 우체국 앞 노점에서 팔 정도로 흔합니다. 우편창구 중간쯤 있는 소인코-너에서 직접 소인할 수 있는데 특별히 먹을 통째로 비치해서 따로 스탬프 패드를 지참하지 않아도 편리합니다. 지하에서 이것 찍고, 지하보도로 나가는 길에 우표박물관에서는 우표박물관 관광인도 받을 수 있습니다.
UNPA New York 우편날짜도장 국제연합 우정국의 뉴욕 우편날짜도장입니다. 소인이 죄다 번진걸 보니 로라인에 먹을 아주 듬뿍듬뿍 찍은 것 같네요. 소인일은 2009년 1월 7일인 것 같습니다. 11일인줄 알았는데 11일은 일요일인데다가 12일이 개강이었으니. 국제연합 우정국은 뉴욕 외에도 취리히와 빈에서도 우표를 발행합니다. 모두 주재국의 우편요금 체계를 준용하고 있고, 같은 시리즈 우표를 3개국에서 동시에 발매하는 등 우취가들의 주머니를 털어먹는 스킬도 상당합니다. 사실 국제연합이 직접 우표를 발행하는게 좀 생소하긴 합니다만, 의외로 국제연합 우정국 우표는 한때 대유행을 했을 만큼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거하게 유행을 타고 발행량이 쪼그라들긴 했습니다만 여전히 세계유산이나 인권, 평등, 평화를 주제로 한 우표를 꾸준히 발행하고 ..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관광인 (북광주, 2016) 북광주우체국의 관광인입니다. 도안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광천에 내리자마자 서광주우체국에 가야 하는데 버스를 잘못 타서 찾아간 우체국인데, 관광우편날짜도장 현황에 떠서 한 장 찍어보았습니다. 아 설마 광천터미널 버스정류장이 방향별로 정차 위치가 다를 줄은 누가 알았겠습니까(...) 광주학생독립운동은 나주역에서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는 일본인 남학생들에게 헤이 영쑤 돈두댓 참교육을 시전한 것으로부터 촉발되어 호남은 물론이고 전국적으로 동맹휴업, 시위 등으로 나타난 1920년대의 대표적인 국내 항일운동입니다. 기념탑은 북구 누문동의 광주제일고 교정에 세워져 있습니다. 우체국에서 그리 멀지 않아요. 참고로 이 때 기소된 사람들의 변호를 맡았던 변호사 중에는 신간회 활동을 하고 은둔하다가 광복 후 초대 대법원..
관봉석조여래좌상 관광인 (경산, 2008) 그 유명한 팔공산 갓바위 관광인입니다. 관광인 명칭은 "관봉석조여래좌상". 취급국은 경산우체국입니다. 이 아이와 짝을 이루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동대구역에 있습니다. 수능 즈음에는 시내버스가 주저앉는다는 바로 그 갓바위인데, 저는 그 아래 관광단지에 엠티나 몇 번 가 봤지 정작 갓바위까지는 올라가 본 적이 없네요. 사실 대구시에서 그 동안 팔공산에다가 보너스로 갓바위를 같이 팔아먹어서 그렇지, 실제로 갓바위의 소재지는 경상북도 경산시입니다. 대구쪽 등산로가 유명해서 그렇지 와촌 쪽에서도 올라가는 길이 있어요. 경산우체국은 터미널 근처에 있다가 경산시청 근처로 이전해서 찾아가기가 적잖이 까다롭습니다.
오륙도 관광인 (부산용호, 2016) 부산용호동우체국 관광인입니다. 도안은 오륙도.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 목메어 불러봐도 형제는 대답이 없습니다. 사실 연락선도 없어요. 군함은 있습니다만(...) 이 아이는 우본 고시 2016-42호에 의거, 2016년 7월 25일자로 사용 개시된 따끈한 아이입니다. 용호동 드나드는 시내버스가 많이 있으니 (20, 22, 24, 27, 39, 131남구2, 남구2-1, 남구8) 우체국 들르기엔 불편하지 않은데, 한 번 들어갔다 나오는데 시간이 꽤 많이 걸립니다. 특히 부경대 앞에서 막히면 답이 없죠. 오륙도를 보려면 이기대SK뷰아파트까지는 가야 합니다.(27, 131, 남구2, 남구2-1) 시간이 많으면 유람선 타도 괜찮습니다. 요즘도 다니는지는 모르겠지만.
자갈치시장 관광인 (부산광복동, 2008) 부산광복동우체국 관광인입니다. 도안은 인근의 자갈치시장.당시 인면상태가 메롱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절대 제가 관광인을 잘 못 찍어서 저렇게 나온 게 아니에요. 뭐 좀 비뚤게 찍히긴 했습니다만. 이 관광인은 우본 고시 제2014-90호에 의거 2015년 1월 2일 부산창선동우체국으로 취급국이 변경되었으며, 동시에 도안도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 저조로 우본 고시 2016-19호에 의거 2016년 4월 8일자로 폐지되었습니다. 사실 광복로 깊숙한 골목에 짱박힌 창선동우체국보다 광복동 입구의 광복동우체국이 훨씬 접근성이 좋았으니 이용자 저조를 노리고 일부러 취급국을 변경한 것은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